이슬람의 예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슬람의 예언자는 알라의 계시를 받아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존재로, 이슬람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꾸란에는 25명의 예언자가 언급되어 있으며, 아담, 노아, 아브라함, 모세, 예수, 무함마드가 특히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슬람에서는 무함마드를 마지막 예언자로 믿으며, 예언자와 사도를 구분하기도 한다. 이슬람의 예언자들은 인간의 모범이며, 유일신에 대한 믿음과 복종을 설교했다. 이슬람은 타우라트, 자부르, 인질, 꾸란 등 여러 경전을 인정하며, 무함마드는 예언자 계보의 마지막 인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슬람교의 예언자 - 미르자 굴람 아흐마드
미르자 굴람 아흐마드는 19세기 인도에서 아흐마디야 운동을 창시하며 자신을 이슬람교의 마흐디이자 메시아라고 주장, 평화적 지하드 해석과 종교 간 대화, 사회봉사를 강조하여 아흐마디야 운동을 전 세계, 특히 인도, 파키스탄, 아프리카, 유럽 등에 확산시켰다. - 이슬람교의 예언자 - 아브라함
아브라함은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유대인의 조상으로, 하느님과의 언약을 통해 믿음의 조상으로 널리 존경받는다. - 이슬람교 지도자 - 대무프티
대무프티는 이슬람 율법 샤리아를 해석하여 파트와를 제시하는 최고위 이슬람 종교 학자를 지칭하는 칭호로, 국가별로 선출 또는 임명 방식, 역할, 통치자와의 관계 등에 차이가 있다. - 이슬람교 지도자 - 야쿱 알만수르
야쿱 알만수르는 무와히드 왕조의 칼리프로서 무역, 건축, 철학, 과학 발전에 기여하고 알라르코스 전투에서 승리하여 "신에 의한 승리자"라는 칭호를 얻었으나, 타우히드주의를 내세워 강압적인 종교 정책을 펼치기도 했다. - 아랍 - 아랍 석유 수출국 기구
아랍 석유 수출국 기구(OAPEC)는 아랍 국가들의 석유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석유 생산과 판매를 정치와 분리하고, 석유 위기 당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 아랍 - 아랍화
이슬람의 예언자 |
---|
2. 이슬람의 예언자 개념
이슬람에서 예언자는 알라의 말씀을 받아 백성에게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들은 단순한 전달자가 아니라, 알라의 뜻을 실현하고 사회 정의를 구현하는 지도자이기도 하다.[184] 성사(聖使)는 라쑬룰 라를 한자로 번역한 것으로, “알라가 보낸 사람”이라는 뜻이다. 아브라함, 모세, 예수, 무함마드가 대표적인 성사이다.
이슬람에서 예언자는 알라의 뜻과 종교적 미래상을 예언하고, 성사는 그러한 예언을 실현하는 능력을 지닌 사람이다. 따라서 모든 성사는 예언자이나, 모든 예언자가 성사인 것은 아니다. 이슬람에서는 구약성서의 예언자들과 신약성서의 예수(이사) 역시 예언자로 인정하며, 노아(누흐), 아브라함(이브라힘), 모세(무사), 나사렛 예수(이사), 무함마드를 5대 예언자로 꼽지만, 무함마드를 마지막 예언자로 본다.[184]
2. 1. 예언자와 사도의 차이
이슬람에서는 예언자(나비)와 사도(라술)를 구분한다. 모든 사도는 예언자이지만, 모든 예언자가 사도는 아니다.[185]아랍어에서 ''나비''(nabī, نَبِيّar)는 "예언자"를 의미하며, 꾸란에서 75번 나타난다. ''누부와''(نبوةar, "예언자 직분")는 꾸란에서 5번 나온다. ''라술''(rasūl, رَسُولar)과 ''무르살''(mursal, مُرْسَلar)은 "하나님으로부터 주어진/받은 율법을 가진 메신저"를 의미하며, 300번 이상 나타난다. 예언적 "메시지"를 뜻하는 용어(رسالةar, risālah)는 꾸란에서 열 번 나타난다.[9]
아랍어 | 영어 | 그리스어 | 히브리어 |
---|---|---|---|
rtl=yes|نَبِيّar | 예언자 | [11] | נָבִיאhe[12] |
rtl=yes|رَسُولar | 메신저 예언자 사도 | [13] [14] | מַלְאָךְhe[15] שְׁלַחhe[16] |
유대교와 기독교를 받아들여 탄생한 이슬람교에서는 현실적으로 예언자(나비)는 사도(라술)와 거의 동의어로 사용되지만, 다음과 같이 구별할 수 있다.[185]
- 예언자는 신으로부터 소식(나바, rtl=yes|نبأar)을 계시받은 자를 가리킨다.
- 사도는 예언자라는 조건에 더해, 나바를 다른 사람에게 전하는 사명을 띠고 있는 자를 가리킨다.
즉, 예언자가 사도를 내포하고 있으며, 따라서 사도는 동시에 예언자이다.
2. 2. 예언자의 특징
이슬람의 예언자들은 평범한 인간으로서, 의로움과 도덕적 행위의 모범을 보인다.[23] 모든 예언자는 예언적 혈통, 일신교 옹호, 하느님의 메시지 전달, 하느님을 거부하는 것의 종말론적 결과에 대한 경고라는 공통된 특징을 갖는다. 예언 계시는 종종 징후와 신성한 증거 형태로 나타난다. 각 예언자는 서로 연결되며, 궁극적으로 무함마드의 최종 예언 메시지를 뒷받침한다. 예언자들의 자질은 사람들을 올바른 길로 이끄는 것이다.[23]이슬람, 특히 시아 이슬람에서는[24] 예언자들이 'ʿiṣmah'(실수나 중대한 죄를 범하지 않도록 신에 의해 보호받는 것) 자질을 갖는다고 믿는다.[25] 이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항상 실수를 고치려 노력한다는 의미이다. 죄는 예언자들이 백성들에게 회개하는 법을 보여주기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된다.[26] 'ʿiṣmah'에 대한 꾸란 근거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하지만,[25] 이 개념은 9세기경부터 주류 수니파 교리로 자리 잡았다.[27][28]
꾸란은 예언자들을 모든 시대의 가장 위대한 인간이라 하며,[29] "알라의 축복을 받은 자"라고 칭한다.[9][30] 예언자들은 신의 영감을 받지만, 신성한 지식이나 능력이 없는 인간이며, 신으로부터 부여받은 것만을 가진다.[31] 예언자들은 이슬람교 믿음을 가르치는 특별한 임무를 위해 신에 의해 선택받았다고 믿어진다.[29]
꾸란은 수라 26장 아쉬-슈아라에서 예언자에 대한 복종을 강조하며, 하나님을 두려워하고 자신에게 복종할 것을 설교하는 예언자들을 언급한다.
- 108절은 누크가 '하나님을 두려워하고 나에게 복종하라'고 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126절은 후드가 '하나님을 두려워하고 나에게 복종하라'고 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144절은 살리가 '하나님을 두려워하고 나에게 복종하라'고 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163절은 룻이 '하나님을 두려워하고 나에게 복종하라'고 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179절은 슈아이브가 '하나님을 두려워하고 나에게 복종하라'고 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3. 여성 예언자
무슬림 신학자들은 마리아가 예언자인지에 대한 질문을 두고 논쟁을 벌여왔다. 일부 자히리 신학자들은 이삭의 어머니 사라, 모세의 어머니 아시아 뿐만 아니라 마리아도 예언자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천사들이 여성들에게 말을 걸고 그들의 행동을 신성하게 인도했다는 쿠란의 사례에 근거한다.[34] 자히리 학파의 이븐 하즘(1064년 사망)은 여성은 예언(نبوة|nubuwwahar)을 받을 수 있지만, 남성만이 얻을 수 있는 사도직(رسالة|risālahar)은 받을 수 없다고 보았다.[34] 이븐 하즘은 Q5:75에서 마리아를 "진실의 여인"으로 언급하고, Q12:46에서 요셉을 "진실의 남자"로 언급하는 것에 자신의 입장을 근거했다. 마리아의 이슬람 내 지위에 대한 학문을 뒷받침하는 다른 언어학적 예시는 마리아를 묘사하는 데 사용된 용어에서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Q4:34에서 마리아는 독실하게 순종하는 자(قَانِتِين|qānitīnar) 중 한 명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남성 예언자에게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설명이다.[35]마리아의 예언자성에 대한 도전은 종종 "우리는 당신 이전에 오직 남자만을 보냈다"라고 읽는 Q12:109에 근거해왔다. 일부 학자들은 "리잘"(rijal) 또는 남성이라는 용어의 사용이 남성과 천사 사이의 대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반드시 남성과 여성의 대조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고 주장한다.[35] 다수의 학자들, 특히 수니파 전통에서는 이 교리를 이단적 혁신으로 여겨 거부했다.[34]
3. 주요 예언자
이슬람에서는 쿠란을 통해 25명의 예언자가 소개되었다. 이슬람에서는 특히 이들 중 노아, 아브라함, 모세, 예수, 무함마드를 5대 예언자로 중요하게 여긴다.[184] 무슬림은 이 예언자들이 알라의 예언자임을 믿으며, 무함마드 이후에는 최후의 심판의 날까지 새로운 예언자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믿는다.[20]
꾸란에 나오는 예언자들의 이야기는 종종 예언자가 사람들에게 보내지지만, 그들은 예언자를 거부하거나 공격하고, 결국 하나님의 벌로 멸망한다는 패턴을 따른다. 꾸란은 완전한 서사를 제공하지 않고, 이전 세대의 파멸에 대한 비유적인 언급만을 제공한다.[20]
아브라함은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에서 일신교의 아버지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꾸란에서 그는 인류의 영적인 모범이자 무슬림 예언자들의 계보를 잇는 존재로 인정받는다. 무함마드는 아브라함의 후손이며, 아브라함의 예언자 계보를 완성하는 마지막 예언자이다.[65]
꾸란은 세상을 상호 연관된 드라마와 갈등으로 가득 찬 곳으로 제시하며, 신성한 드라마는 창조와 동산에서의 추방 사건과 관련이 있고, 인간의 드라마는 인류의 삶과 역사와 관련이 있지만, 예언자들의 삶의 사건도 포함한다.[36] 이슬람의 도덕성은 신이 정한 삶에 대한 믿음을 통해 덕을 쌓는 삶에 기초하며, 예언자들은 올바른 길의 메시지를 따르고 되찾도록 부름을 받는다.[36]
무함마드는 마지막 예언자로 여겨지지만, 일부 무슬림 전통은 성자를 인정하고 숭배하기도 한다.[37]
3. 1. 5대 예언자
이슬람교에서는 구약성서의 예언자들과 신약성서의 예수 (이사) 역시 역대 예언자로 인정하며, 특히 무함마드를 마지막 예언자로 본다.[184] 이슬람에서 꼽는 5대 예언자는 다음과 같다.# 노아 (누흐)
# 아브라함 (이브라힘)
# 모세 (무사)
# 나사렛 예수 (이사)
# 무함마드
3. 2. 꾸란에 등장하는 예언자
꾸란에는 25명의 예언자들이 이름으로 언급되어 있다. 이 외에도 꾸란에는 이름이 언급되지 않은 많은 예언자들이 등장한다. 무슬림은 이 예언자들이 알라의 예언자임을 믿는다. 특히 아담, 노아, 아브라함, 모세, 예수, 무함마드는 이슬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예언자이다. 또한 그들은 무함마드 이후에는 최후의 심판의 날까지 새로운 예언자가 출현하지 않는다고 믿는다.No. | 민족 | 이슬람교에서의 호칭 | 등장하는 꾸란의 절 | 유대교·기독교에서의 호칭 | |||
---|---|---|---|---|---|---|---|
가타카나 | 아랍 문자 | 라틴 문자 | |||||
1 | 분기 전 | 아담 | 3장 33절 | 아담 | |||
2 | 분기 전 | 이드리스 | 21장 85절 | 에녹 | |||
3 | 분기 전 | 누흐 | 누흐 | 노아 | 6장 4번째 | ||
4 | 아랍인 | 후드 | 후드 | 11장 50절 | 에벨 | ||
5 | 아랍인 | 사리흐 | 11장 61절 | 셀라 | |||
6 | 분기 전 | 이브라힘 | 이브라힘 | 아브라함 | 6장 1번째 | ||
7 | 분기 전 | 루트 | 6장 18번째 | 롯 | |||
8 | 분기 전 | 이스마일 | 6장 15번째 | 이슈마엘 | |||
9 | 분기 전 | 이스하크 | 6장 2번째 | 이삭 | |||
10 | 이스라엘인 | 야쿠브 | 6장 3번째 | 야곱 | |||
11 | 이스라엘인 | 유수프 | 유수프 | 요셉 | 6장 8번째 | ||
12 | 아랍인 | 슈아이브 | 11장 84절 | 르우엘 | |||
13 | 아랍인 | 아이유브 | 6장 7번째 | 욥 | |||
14 | 이스라엘인 | 줄키플 | 21장 85절 | 에스겔 | |||
15 | 이스라엘인 | 무사 | ٰمُوسَىar | 6장 9번째 | 모세 | ||
16 | 이스라엘인 | 하룬 | 6장 10번째 | 아론 | |||
17 | 이스라엘인 | 다우드 | 6장 5번째 | 다윗 | |||
18 | 이스라엘인 | 술라이만 | 6장 6번째 | 솔로몬 | |||
19 | 이스라엘인 | 일리야스 | 6장 14번째 | 엘리야 | |||
20 | 이스라엘인 | 알야사아 | 6장 16번째 | 엘리사 | |||
21 | 이스라엘인 | 유누스 | 유누스 | 요나 | 6장 17번째 | ||
22 | 이스라엘인 | 자카리야 | 6장 11번째 | 스가랴 | |||
23 | 이스라엘인 | 야히야 | 6장 12번째 | 요한 | |||
24 | 이스라엘인 | 이사 | 6장 13번째 | 예수 | |||
25 | 아랍인 | 무함마드 | 무함마드 | 파라클레토스 | 48장 29절 |
아랍어에서 ''nabī'' (أنبياءar)는 "예언자"를 의미한다. ''누부와''( "예언자 직분")라는 용어는 꾸란에서 다섯 번 나타난다. ''rasūl''(رسلar)과 ''mursal''(مرسلar)은 "하나님으로부터 주어진/받은 율법을 가진 메신저"를 의미하며 300번 이상 나타난다. 예언적 "메시지"를 뜻하는 용어(رسالةar)는 꾸란에서 열 번 나타난다.[9]
꾸란에 언급된 모든 메신저는 또한 예언자이지만, 모든 예언자가 메신저인 것은 아니다.
일부 학자들은 마리아를 예언자로 보기도 한다.
3. 3. 예언자 관련 논쟁
꾸란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예언자로 간주되기도 하는 인물들이 있다. 다음은 그 목록이다.[122][123][124][125][126][127][128][129][130][131][132][133][134][135][136][137][138][139][140][141][142][143][144][145][146][147][148][149][150][151][152][153][154][155][156][157][158][159][160][161][162][163][164][165][166][167]이름 | 비고 | 다른 전통에서의 해당 인물 |
---|---|---|
Šayṯ|샤이스ar | 하디스에는 언급됨. | 세스 |
Kālib|칼리브ar | 이스라엘로 보내짐. | 갈렙 |
Yūša bin Nun|유샤 빈 눈ar | 이스라엘로 보내짐. 꾸란에 이름은 없지만, 다른 이슬람 문헌과 여러 하디스에 나타남. 하느님이 "은총을 베푸신" 두 사람 중 하나이자 무사 (모세)의 후계자로 여겨짐. | 여호수아 |
al-Khaḍir|알-카디르ar | 바다, 억압받는 사람들, 이스라엘, 메카, 예언자가 존재하는 모든 땅으로 보내짐. 꾸란에는 이름 없이 신비한 인물로 언급. 멜기세덱과 동일시되기도 함. | 때로는 멜기세덱, 때로는 엘리야와 동일시. |
Luqmān|루크만ar | 에티오피아로 보내짐. 꾸란 루크만 장에서 현자로 언급되지만, 예언자로 명확히 밝히지는 않음. | |
Ṣamūʾīl|사무일ar | 이름으로 언급되지 않으며, 이스라엘 백성에게 보내져 사울을 왕으로 기름부은 사자/예언자로 언급. | 사무엘 |
Ṭālūt|탈루트ar | 일부 무슬림들은 사울을 탈루트라 부르며 이스라엘 지휘관이었다고 믿음. 꾸란에 따르면, 사무엘에 의해 전쟁을 이끌도록 선택됨. 골리앗의 군대에 승리. | 사울 또는 기드온 |
Irmiyā|이르미야ar | 꾸란이나 정경 하디스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이슬람 문헌과 주석에서 자세히 다뤄짐. | 예레미야 |
Hizqil|히즈킬ar | 종종 Dhul-Kifl과 동일 인물로 식별. | 에스겔 |
Dāniyāl|다니얄ar | 일반적으로 무슬림들은 예언자로 간주. 시아파 무슬림 하디스에 따르면 그는 예언자. | 다니엘 |
Ḏū l-Qarnayn|두 알-카르나인ar | 꾸란에 동서로 여행하며 장벽을 세우는 인물로 등장. | 키루스 대왕, 임루'알-카이스 I, 메시아 벤 요셉, 다리우스 대왕, 오구즈 카간 |
Uzayr|우자이르ar | 꾸란에 언급되지만, 예언자라고 명시되지는 않지만, 많은 이슬람 학자들은 예언자로 여김. | 에스라 |
Imrān|임란ar | 꾸란의 3장 임란의 가족은 성경 인물 요아킴을 의미. | 요아킴 |
Maryam|마리얌ar | 일부 학자들은 마리아를 사자이자 여예언자로 간주. | 마리아 |
Shamshû̅n|샴순ar | 다양한 이슬람 학자들이 삼손을 예언자로 간주. | 삼손 |
4. 이슬람 성서
이슬람에서는 알라가 예언자들에게 계시한 경전들을 인정한다. 꾸란은 이러한 경전들 중 일부를 언급하고 있다. 아브라함의 두루마리(صحف إبراهيم|Ṣuḥuf ʾIbrāhīmar)[51]와 모세의 두루마리(صُحُفِ مُوسَىٰ|Ṣuḥuf Mūsāar)[55] 등은 현존하지 않는 성서들이다.
4. 1. 주요 성서
이슬람에서는 알라가 예언자들에게 메시지를 전했으며, 이 메시지는 수후프나 키탑의 형태로 보존되었다고 가르친다. 현재 기록으로 남아있는 주요 성서는 다음과 같다.[43]
이슬람에서는 위에 언급된 모든 계시된 책들에 대한 믿음을 이슬람의 신앙 조항으로 여기며, 무슬림은 무슬림이 되기 위해 모든 경전을 믿어야 한다. 이슬람은 이전의 모든 경전을 존중한다고 말한다.[43]
- 타우라트(Tawrah): 무슬림들이 이스라엘의 자손들에게 계시되었다고 믿는 이슬람 성서로서의 토라의 아랍어 이름이다. 무슬림들은 ''타우라트''를 ''모세 오경''뿐만 아니라 히브리 성서의 다른 책들과 탈무드 및 미드라시 저술과도 동일시한다.[44]
- 자부르(Zaboor): 시편으로 해석하며,[45] 다윗 왕(''다우드'')에게 계시된 성서라고 언급한다. 학자들은 종종 시편을 법을 집행하는 책이 아닌 찬양의 거룩한 노래로 이해해 왔다.[46]
- 신의 지혜의 책 (아랍어: ''az-Zubur''): 꾸란은 특정 ''신의 지혜의 책''을 언급한다.[48]
- 인질(Injeel) (복음서): 예수에게 계시된 성서였다. 많은 평신도 무슬림들은 ''인질''이 신약성서 전체를 의미한다고 믿지만, 학자들은 그것이 신약성서가 아니라 하느님이 보내시고 예수에게 주신 원래의 복음서를 지칭한다는 점을 분명히 지적했다.[49] 무슬림 학자들에 따르면 현재의 정경 복음서는 신성하게 계시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동시대인, 제자 및 동료들이 기록한 예수의 삶에 대한 문서이다. 이 복음서에는 예수의 가르침 일부가 포함되어 있지만, 인간이 아닌 하느님이 보내신 단일 책이었던 원래의 복음서를 나타내지는 않는다.[50]
- 꾸란(القرآن|al-Qurʼānar): 무함마드에게 계시된 계시이다.
- 아브라함의 두루마리(아랍어: Ṣuḥuf ʾIbrāhīm)[51]는 아브라함(''이브라힘'')에게 주어진 가장 초기의 경전 중 하나로 여겨진다.[52]
- 모세의 두루마리 (صُحُفِ مُوسَىٰ|Ṣuḥuf Mūsāar): 꾸란에 두 번 언급된 고대 경전이다. 이슬람의 종교 경전의 일부이다. 요르단 학자이자 철학 교수인 가지 빈 무함마드는 "모세의 두루마리"가 모세의 토라와 동일하다고 언급한다.[55]
- 계몽의 책 (الكِتَابُ ٱلْمُنِير|Kitābul-Munīrar): 꾸란은 ''계몽의 책''을 언급하며,[56] 이것은 대체로 ''계몽의 경전'' 또는 ''빛나는 책''으로 번역되었다.
4. 2. 기타 성서
꾸란에는 아브라함의 두루마리( صحف إبراهيم|Ṣuḥuf ʾIbrāhīmar)와[51] 모세의 두루마리( صُحُفِ مُوسَىٰ|Ṣuḥuf Mūsāar) 등[55] 현존하지 않는 성서들에 대한 언급도 있다.5. 예언자 계보와 무함마드의 위치
이슬람은 알라의 계시가 예언자들을 통해 인류에게 점진적으로 전달되었다고 믿는다. 무함마드는 이러한 예언자 계보의 마지막에 위치하며, 그의 계시인 꾸란은 이전의 모든 계시를 완성하고 대체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무함마드는 '예언자의 봉인'(خاتم النبيين|카탐 안나비인ar)이라고 불리며, 그 이후에는 더 이상 예언자가 오지 않는다고 믿어진다.[184]
꾸란에서는 25명의 예언자를 언급하며, 이들은 모두 알라의 예언자로 여겨진다. 특히 아담, 누흐, 이브라힘, 무사, 이사, 무함마드는 이슬람에서 중요한 예언자들이다. 무슬림들은 무함마드 이후에는 최후의 심판의 날까지 새로운 예언자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믿는다.
이슬람에서 꾸란은 아브라함 계열의 마지막 예언자인 무함마드의 계시로 여겨지며, 무슬림들이 올바른 길이라 부르는 것을 자세히 설명한다.[36] 모든 예언자는 하느님에 대한 복종과 순종을 가르쳤으며, 자선, 기도, 순례, 금식 등이 강조된다. 그중에서도 유일신에 대한 엄격한 믿음과 숭배가 가장 중요하다.[29] 꾸란은 이슬람을 "아브라함의 종교"(이브라힘)라고 부르며,[21] 야곱(야쿠브)과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를 무슬림이라고 언급한다.[22]
이슬람의 예언자들은 평범한 인간의 모범으로, 의로움과 도덕적 행위의 모범을 보여준다. 모든 예언자들은 예언적 혈통, 일신교 옹호, 하느님의 메시지 전달, 하느님 거부의 종말론적 결과 경고 등을 공유한다. 예언적 계시는 징후와 신성한 증거 형태로 나타나며, 각 예언자는 서로 연결되어 무함마드의 최종 예언적 메시지를 뒷받침한다. 예언자들의 자질은 사람들을 올바른 길로 이끌기 위한 것이며, 하디스에는 "사람들 중 예언자들이 가장 많이 고통받는다."라고 언급되어 있다.[23]
아브라함은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에서 일신교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으며, 꾸란에서는 메신저이자 인류의 영적 모범이며 무슬림 예언자들의 계보를 잇는 존재로 인정받는다. 무함마드는 아브라함의 후손이며, 아브라함의 예언자 계보를 완성한다.
꾸란은 세상을 상호 연관된 드라마와 갈등으로 가득 찬 곳으로 제시한다. 신성한 드라마는 창조와 동산에서의 추방 사건과 관련이 있으며, 인간의 드라마는 인류의 삶과 역사, 예언자들의 삶을 포함한다.[36] 이슬람의 도덕성은 신이 정한 삶에 대한 믿음을 통해 덕을 쌓는 삶에 기초하며, 예언자들은 계시와 아야트의 관점에서 신성한 선물과 함께 주어진다.[36] 예언자들은 올바른 길의 메시지를 따르고 되찾도록 부름받으며, 이것이 아브라함 전통 내에서 그들의 계시 권위의 핵심 특징이다. 꾸란이 아브라함적 맥락 내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무함마드에게 내려진 계시가 토라와 복음서와 동일한 권위를 부여한다.[65]
무함마드는 마지막 예언자로 여겨지지만, 일부 무슬림 전통은 성자를 인정하고 숭배하기도 한다( 살라피즘과 와하비즘과 같은 현대 학파는 성자 숭배 이론을 거부한다).[37] 꾸란 예언의 묘사에는 무함마드의 계시를 뒷받침하는 패턴이 있다. 무함마드는 아브라함의 예언 계보에 속하므로, 그들의 예언은 여러 측면에서 유사하다. 무함마드는 생전에 우상 숭배에서 이교도들을 제거하려고 노력했는데, 이는 아브라함과 유사하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무함마드의 메시지를 거부했고, 심지어 그가 도시에서 안전하지 않아 메카에서 도망치게 만들었다. 칼 에르네스트(Carl Ernest)는 "꾸란은 무함마드를 자주 위로하고 그의 반대자들로부터 그를 옹호한다"고 말한다.[40] 이러한 위로는 아브라함이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격려와 유사하다. 무함마드는 또한 아브라함처럼 기적을 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라 17(알-이스라)은 무함마드가 이전 예언자들을 만나기 위해 물리적으로 천국으로 올라간 기적적인 야간 여행을 간략하게 묘사한다. 이 영적인 여정은 매일의 기도 의식과 같이 이 기적 동안 많은 이슬람 종교 전통과 변혁이 주어지고 확립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무함마드는 아브라함의 후손이다. 따라서 이것은 그를 예언 계보의 일부로 만들 뿐만 아니라 인류를 올바른 길로 인도할 아브라함 계보의 마지막 예언자로 만든다.
무함마드의 계시 시대 동안 아라비아 반도는 많은 이교도 부족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의 출생지인 메카는 주요 순례지이자 무역 중심지였으며, 많은 부족과 종교가 끊임없이 교류했다. 무함마드가 주변 문화와 맺었던 관계는 꾸란이 계시되는 방식의 기초가 되었다. 꾸란은 하나님의 직접적인 말씀으로 여겨지지만, 아라비아 반도의 모든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그의 모국어인 아랍어로 무함마드에게 전달되었다. 이는 꾸란을 당시의 시와 다른 종교 텍스트와 구별하는 핵심 특징이다. 꾸란은 번역에 면역성이 있으며 계시된 시대의 문화적 맥락에 적용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64] 무함마드는 그의 계시가 시라는 비판을 받았는데, 문화적 관점에서 볼 때 시는 지니와 쿠라이시에서 순전히 유래한 계시였지만, 이원성의 유형과 아브라함 계열의 다른 예언자들과의 유사성은 그의 계시를 확증한다. 이러한 유사성은 구조의 복잡성과 유일신 알라에게 굴복하는 믿음의 메시지에서 발견된다.[65] 이는 또한 그의 계시가 오직 하나님으로부터 왔으며 그가 올바른 길의 수호자일 뿐만 아니라 다른 예언자들의 영감받은 메시지와 삶의 수호자임을 나타내며, 꾸란을 아브라함 전통의 일신교적 현실과 일치시킨다.[65]
참조
[1]
qref
[2]
웹사이트
"Qur'an: The Word of God Religious Literacy Project"
https://rlp.hds.harv[...]
2018-10-06
[3]
웹사이트
BBC - Religions - Islam: Basic articles of faith
http://www.bbc.co.uk[...]
2018-10-05
[4]
서적
Encyclopedia of Islam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5-06-22
[5]
서적
Ulum al-Qur'an : an introduction to the sciences of the Qur an
Islamic Foundation
[6]
문서
'Understanding the Qurán'
[7]
qref
[8]
간행물
Rasul
[9]
간행물
Prophets and Prophethood
[10]
서적
Strong's Concordance
[11]
웹사이트
G4396 - prophētēs - Strong's Greek Lexicon (kjv)
http://www.bluelette[...]
2024-02-02
[12]
웹사이트
H5030 - nāḇî' - Strong's Hebrew Lexicon (kjv)
https://www.bluelett[...]
2024-02-02
[13]
웹사이트
G32 - angelos - Strong's Greek Lexicon (kjv)
https://www.bluelett[...]
2024-02-02
[14]
웹사이트
G652 - apostolos - Strong's Greek Lexicon (kjv)
https://www.bluelett[...]
2024-02-02
[15]
웹사이트
H4397 - mal'āḵ - Strong's Hebrew Lexicon (kjv)
https://www.bluelett[...]
2024-02-02
[16]
웹사이트
H7972 - šᵊlaḥ - Strong's Hebrew Lexicon (kjv)
https://www.bluelett[...]
2024-02-02
[17]
문서
"The Qur'an Seminar Commentary / Le Qur'an Seminar: A Collaborative Study of 50 Qur'anic Passages / Commentaire collaboratif de 50 passages coraniques"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6-11-07
[18]
서적
The Muslim Creed: Its Genesis and Historical Development
Taylor & Francis
2013
[19]
문서
Imam Abu Hanifa’s Al Fiqh Al Akbar Explained By أبو حنيفة النعمان بن ثابت Abu ’l Muntaha Ahmad Al Maghnisawi Abdur Rahman Ibn Yusuf
[20]
간행물
"From Haggadic Exegesis To Myth: Popular Stories Of The Prophets In Islam"
Brill
2009
[21]
qref
[22]
qref
[23]
서적
The Origin and the Overcoming of Evil and Suffering in the World Religions
Springer Netherlands
2013
[24]
서적
A Shiite Creed
WOFIS
1982
[25]
문서
"Brown, ''Rethinking tradition in modern Islamic thought'', 1996"
[26]
문서
Abu l-Lait as-Samarqandi's Commentary on Abu Hanifa al-Fiqh al-absat Introduction, Text and Commentary by Hans Daiber Islamic concept of Belief in the 4th/10th Century Institute for the Study of Languages and Cultures of Asia and Africa
[27]
문서
"Brown, ''Rethinking tradition in modern Islamic thought'', 1996"
[28]
문서
"Schimmel, ''And Muhammad is His Messenger,'' 56-60. The polemic of al-Baqillani (d.1012) show that the doctrine was in wide circulation during the ninth century."
[29]
문서
'Historical Dictionary of Prophets in Islam and Judaism'
[30]
qref
[31]
서적
Essential Hanafi Handbook of Fiqh
Kazi Publications
1985
[32]
qref
[33]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slam
Brill
1973
[34]
서적
Women in the Quran, traditions, and interpre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35]
저널
Destabilizing Gender, Reproducing Maternity: Mary in the Qurʾān
2017
[36]
논문
The notion of history in the Qur'ān and human destiny
1998
[37]
간행물
Walī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38]
서적
Comparing the Qur'an and the Bible: What They Really Say about Jesus, Jihad, and More
Baker Books
[39]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Muḥamma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40]
서적
How to Read the Qur'an: A New Guide, with Select Translations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41]
서적
The Sources of Islamic Law: Islamic Theories of Abrogation
http://www.almuslih.[...]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8-07-21
[42]
문서
qref 26 b=y
[43]
문서
Concise Encyclopedia of Islam
[44]
문서
Intertextualität als hermeneutischer Zugang zur Auslegung des Korans: Eine Betrachtung am Beispiel der Verwendung von Israiliyyat in der Rezeption der Davidserzählung in Sure 38: 21-25
Logos Verlag Berlin GmbH
2015-12-31
[45]
웹사이트
Zabur - Oxford Islamic Studies Online
http://www.oxfordisl[...]
2018-07-26
[46]
문서
Encyclopaedia of Islam, Psalms
[47]
웹사이트
Psalms - Oxford Islamic Studies Online
http://www.oxfordisl[...]
2018-07-26
[48]
문서
qref 3 184 b=y
[49]
문서
Holy Quran: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50]
문서
Encyclopedia of Islam, Injil
[51]
문서
Alternatives: صُحُفِ إِبْرَاهِيم Ṣuḥufi ʾIbrāhīm and/or الصُّحُفِ ٱلْأُولَىٰ Aṣ-Ṣuḥufi 'l-Ūlā - "Books of the Earliest Revelation"
[52]
문서
Cite quran 87 19 s=ns
[53]
문서
The Holy Qur'an: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54]
문서
The Meaning of the Glorious Koran
[55]
서적
A Thinking Person's Guide to Islam: The Essence of Islam in 12 Verses from the Qur'an
https://books.google[...]
Turath Publishing
2018-01-29
[56]
문서
qref 3 184 b=y and qref 35 25
[57]
문서
qref 26 83 b=y
[58]
문서
qref 10 22 b=y
[59]
문서
qref 28 14 b=y
[60]
문서
qref 2 251 b=y
[61]
문서
qref 21 74 b=y
[62]
문서
qref 19 14 b=y
[63]
문서
qref 3 48 b=y
[64]
논문
Rethinking 'Revelation' as a Precondition for Reinterpreting the Qur'an: A Qur'anic Perspective
1999
[65]
논문
Duality, Opposition and Typology in the Qur'an: The Apocalyptic Substrate
1999
[66]
서적
Essential Islam: A Comprehensive Guide to Belief and Practice
https://archive.org/[...]
ABC-CLIO
2010
[67]
문서
Quran 2:31 qref 2 31 b=y
[68]
문서
Quran 19:56 qref 19 56 b=y
[69]
서적
A Dictionary of Islam
Ashraf Printing Press
1989
[70]
서적
Islam and Christianity: connections and contrasts, together with the stories of the prophets and imams
Sessions
1977
[71]
서적
The Holy Qur'an: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72]
Qref
26|107|b=y
[73]
Qref
46|35|b=y
[74]
Qref
33|7|b=y
[75]
Qref
26|105|b=y
[76]
Qref
26|125|b=y
[77]
Qref
7|65|b=y
[78]
Qref
26|143|b=y
[79]
Qref
7|73|b=y
[80]
Qref
19|41|b=y
[81]
Qref
9|70|b=y
[82]
Qref
2|124|b=y
[83]
Qref
42|13|b=y
[84]
Qref
22|43|b=y
[85]
Qref
87|19|b=y
[86]
Qref
6|86|b=y
[87]
Qref
37|133|b=y
[88]
Qref
7|80|b=y
[89]
Qref
19|54|b=y
[90]
Qref
19|49|b=y
[91]
Qref
40|34|b=y
[92]
Qref
4|89|b=y
[93]
간행물
Ayyub
Encyclopedia of Islam
[94]
Qref
26|178|b=y
[95]
Qref
7|85|b=y
[96]
Qref
20|47|b=y
[97]
Qref
53|36|b=y
[98]
Qref
19|53|b=y
[99]
Qref
6|89|b=y
[100]
Qref
17|55|b=y
[101]
논문
How We Know When Solomon Ruled
https://www.baslibra[...]
BAS
2001-09
[102]
Qref
37|123|b=y
[103]
Qref
37|124|b=y
[104]
Qref
37|139|b=y
[105]
Qref
10|98|b=y
[106]
qref
[107]
서적
Quran: A Reformist Translation
Brainbow Press
2007
[108]
qref
[109]
웹사이트
The Prophets
https://www.alislam.[...]
2020-12-19
[110]
웹사이트
Buda'nın Peygamber Efendimizi bin yıl önceden müjdelediği doğru mudur?
https://sorularlaisl[...]
2015-01-26
[111]
웹사이트
Buda Peygamber mi?
https://ebubekirsifi[...]
2006-01-30
[112]
qref
[113]
qref
[114]
qref
[115]
qref
[116]
qref
[117]
문서
As early as Ibn Ishaq (85-151 AH) the biographer of Muhammad, the Muslims identified the Paraclete - referred to in John's ... "to give his followers another Paraclete that may be with them forever" is none other than Muhammad.
[118]
Quran
[119]
qref
[120]
qref
[121]
qref
[122]
간행물
Al-Bidāya wa-n-nihāya
Ibn Kathir
[123]
qref
[124]
간행물
The Holy Qur'an: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125]
웹사이트
Quran Search Engine, Ayat Search Samuel.Phonetic Search Engine. القرآن الكريم in Arabic, Urdu, English Translation
http://www.guidedway[...]
[126]
서적
The Arabian Epic: Volume 1, Introduction: Heroic and Oral Story-tell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27]
서적
Kitab al-Kafi
The Islamic Seminary Inc.
2015
[128]
간행물
Büyük Hadis Külliyatı, Cem'ul-fevaid min Cami'il-usul ve Mecma'iz-zevaid
[129]
서적
Confronting the Borders of Medieval Art
BRILL
2011
[130]
서적
The A to Z of Prophets in Islam and Judaism
Scarecrow Press
2010-04-01
[131]
서적
The History of al-Tabari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1
[132]
서적
Tafsir Ibn Kathir
Dar-us-Salam Publications
2000
[133]
서적
Stories of the Qurʼan by Ibn Kathir
Dar Al-Manarah
[134]
간행물
A-Z of Prophets in Islam
[135]
간행물
Concise Encyclopaedia of Islam
[136]
웹사이트
Saul - Oxford Islamic Studies Online
http://www.oxfordisl[...]
2018-10-06
[137]
qref
[138]
간행물
The Qur'an, a new translation
[139]
간행물
Tafsir al-Qurtubi
[140]
간행물
Tafsir al-Qurtubi
[141]
서적
1913-1936
[142]
문서
Reisebeschreibung nach Arabian
Copenhagen
1778
[143]
문서
Ibn Kutayba, Ukasha, Tabari, Ibn Kathir, Ibn Ishaq, Masudi, Kisa'i, Balami, Thalabi and many more have all recognized Ezekiel as a prophet.
[144]
문서
The greatest depth to the figure is given by [[Abdullah Yusuf Ali]], in his commentary; his commentary's note '''2743''': "If we accept "Dhul al Kifl" to be not an epithet, but an Arabicised form of "Ezekiel", it fits the context, Ezekiel was a prophet in Israel who was carried away to Babylon by Nebuchadnezzar after his second attack on Jerusalem (about BCE 599). His Book is included in the English Bible (Old Testament). He was chained and bound and put into prison, and for a time he was dumb. He bore all with patience and constancy and continued to reprove boldly the evils in Israel. In a burning passage, he denounces false leaders in words that are eternally true: "Woe be to the shepherds of Israel that do feed themselves! Should not the shepherds feed the flocks? Ye eat the fat, and ye clothe you with the wool, ye kill them that are fed: but ye feed not the flock. The diseased have ye not strengthened, neither have ye healed that which was sick, neither have ye bound up that which was broken ...... etc. (Ezekiel, 34:2–4)."
[14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rophets in Islam and Judaism
[146]
문서
A-Z of Prophets in Islam and Judaism
[147]
웹사이트
21. The Ethos of Prophet Daniel
https://www.al-islam[...]
2015-06-08
[148]
문서
Tabari
[14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rophets in Islam and Judaism
[150]
문서
qref 18:83-101
[151]
문서
Pearls from Surah Al-Kahf: Exploring the Qur'an's Meaning
Kube Publishing Limited
2020-03-04
[152]
웹사이트
Oğuz Kağan Aslında Zülkarneyn Peygamber mi?
https://www.onaltiyi[...]
2021-02-09
[153]
문서
Quran 9:30
[154]
문서
"Prophets 'Uzair, Zakariya and Yahya (PBUT)"
Encyclopaedia of Holy Prophet and Companions
2005
[155]
문서
"'Uzair (Ezra)"
Stories of the Quran
[156]
서적
A. J. Wensinck (Penelope Johnstone), "Maryam" in C. E. Bosworth, E. van Donzel, W. P. Heinrichs & Ch. Pellat (Eds.), The Encyclopaedia Of Islam (New Edition), 1991, Volume VI, p. 630. Maryam is called a sister of Hārūn (sūra XIX, 29), and the use of these three names 'Imrān, Hārūn, and Maryam has led to the supposition that the Kur'ān does not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he two Maryams, of the Old and the New Testaments. The Kur'ān names two families as being specially chosen: those of Ibrāhim and of 'Imrān (sūra III, 32). It is the family of 'Imrān, important because of Moses and Aaron, to which Maryam belongs. It is not necessary to assume that these kinship links are to interpret in modern terms. The words "sister" and "daughter", like their male counterparts, in Arabic usage, can indicate extended kinship, descendants, or spiritual affinity. This second 'Imrān, together with Harun, can be taken as purely Kur'ānic... Muslim tradition is clear that there are eighteen centuries between the Biblical 'Amram and the father of Marya
[157]
웹사이트
Imam Ibn Hazm: On Prophethood of Women
http://www.globalweb[...]
[158]
간행물
Ibn Ḥazm's theory of prophecy of women: Literalism, logic, and perfection
IIUM Press
2015
[159]
문서
Beyond The Exotic: Women's Histories in Islamic Societies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5
[160]
웹사이트
Why Were There No Female Prophets or Messengers?
https://islamqa.info[...]
2024-08-04
[161]
웹사이트
Handling papers with the names John or Mary written on them
https://www.islamweb[...]
2024-08-04
[162]
웹사이트
Adakah Nabi dari Wanita?
https://konsultasisy[...]
Yufid Network
2024-08-04
[163]
간행물
The Muslim Samson: Medieval, modern and scholarly interpretations
https://www.cambridg[...]
2008
[164]
서적
The development of early Sunnite hadīth criticism: the Taqdima of Ibn Abī Ḥātim al-Rāzī (240/854-327/938)
BRILL
[165]
서적
Tafsir al-Tha'labi: Al-Kashf wa al-Bayan 'an Tafsir al-Qur'an
https://shamela.ws/b[...]
دار التفسير
2024-08-04
[166]
웹사이트
Samson and Delilah not mentioned in Quran and Sunnah
https://www.islamweb[...]
2024-08-04
[167]
웹사이트
Benarkah Samson itu Nabi?
https://konsultasisy[...]
Yufid Network
2024-08-04
[168]
문서
qref 40:78
[169]
문서
qref 16:36
[170]
문서
qref 36:13-21
[171]
문서
A-Z of Prophets in Islam and Judaism
[172]
서적
[[The Holy Qur'an: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The Holy Quran: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173]
문서
[[Abdullah Yusuf Ali]] refers to Hosea 8:14 for his notes on Q. 5:60
[17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rophets in Islam and Judaism
[175]
서적
Women in the Qur'ān, Traditions, and Interpre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76]
논문
Placing the Marginalized Ahmadiyya in Context with the Traditional Sunni Majority
https://journals.gmu[...]
2016
[177]
웹사이트
Ahmadis - Oxford Islamic Studies Online
http://www.oxfordisl[...]
2018-10-06
[178]
백과사전
Mirza Ghulam Ahmad
[179]
논문
My Claim to Promised Messiahship
1904-09
[180]
뉴스
The Ahmadiyyah Movement - Islamic Studies - Oxford Bibliographies - obo
http://www.oxfordbib[...]
2018-10-06
[181]
논문
A Baháʼí Approach to the Claim of Finality in Islam
http://bahai-library[...]
Association for Baha'i Studies North America
2015-12-15
[182]
논문
Keys to the Proper Understanding of Islam in The Dispensation of Baha'u'llah
http://bahai-library[...]
Irfan Colloquia
2015-12-15
[183]
문서
アッラーフには性別は無いが([[クルアーン]][[撒き散らすもの (クルアーン)|51章]]49節参照)、伝統的に、あるいはクルアーンでの用例に従って、この代名詞を用いる。
[184]
서적
イスラム事典
平凡社
[185]
웹사이트
預言者と使徒の違い
http://islam.ne.jp/n[...]
2020-02-18
[186]
웹사이트
クルアーンに述べられている預言者 : イスラーム情報サービス :Islam.ne.jp イスラム情報
http://islam.ne.jp/n[...]
2020-02-18
[187]
웹사이트
イスラームとは
http://www.muslim.or[...]
日本ムスリム協会
2020-10-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